'23년 6월, 지인 결혼식 내 생에 첫 결혼식 부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직장 동료들의 결혼 소식이 연이어 들려왔었다. 결혼식장 명수 제한이 풀리면서 기다렸다는 듯이 남녀를 불문하고 나이대가 비슷한 동료들의 청첩장 전달이 계속 되었고 이맘때즘 모두 하나보다는 생각에 나 역시 조금 동요했었다. 그러나 간혹 여성 동료의 경우 결혼 후 바로 아이를 가질 계획이 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실제로 한 동료는 결혼 후 대학원 진학과 업무에 더 매진하는 계획이었고 다른 한 동료는 쌍둥이를 임신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비슷한 시기에 결혼식을 올리게 되어 두 사람은 자연히 비교 대상이 되었고 아직은 경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출산과 일을 병행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생각은 가진 첫 번째 동료가 부러움 섞인 푸념을 했다. 임신 소식을 알리자마자 바로 육아휴직에 들어간 동료는 남편도 출산 후에는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회사에서도 탄력적 근무제를 활용하여 육아에 동참할 수 있다고 했다. 

 

이렇게 가임력이 있는 남녀가 속한 가장 근접한 사회는 '직장'이다. 큰 틀에서 우리 사회에서 인구와 출산 관련하여 변화되어야 하는 인식은 많지만 출산 후에도 경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 제도와 인식 및 문화가 자리 잡으면, 개인의 선택도 자연스레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환영하는 추세로 변화하지 않을까? 임신 전 단계부터 정부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도 완화되고 돌봄과 양육에서도 낳은 사람들만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It takes a village to raise a child'라는 아프리카 격언처럼 '저출생'을 사회적인 이슈로 문제 인식을 하고 함께 솔루션을 찾아가는 방법이라면 개인적으로 갖는 부담감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가족의 형태에 있어 아직은 다소 폐쇄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가족 구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 부족하다. 전통적인 핵가족 모델뿐 아니라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입양 가정, 무자녀 가정 등 모든 가족 형태를 사회적으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에 따른 정부 지원 제도와 인식도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출산과 양육에 따른 여러가지 정부 지원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임신은 마땅히 축복받아야하고 출산 후 발생하는 육아비용, 교육비 등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뿐만 아니라 저렴하고 신용있는 보육 시설 확충, 보육 프로페셔널에 대한 교육 강화와 같은 간접적 지원도 포함된다.

 

출산과 경력의 균형 또한 중요하다. 특히 여성들이 출산 과정 및 이후에도 경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직장 내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남성 또한 공동 육아를 하는 주체로 인정받고 육아 휴직, 탄력적 근무 제도 등이 유명무실한 제도만이 아닌 실질적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를 이용하고자 한다는 이유로 직장 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모든 규모의 사업장에 적용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겠지만 영세 사업체의 재정적 부담도 일부 해소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적 확대가 필요하다)

 

총 합계출산율이 계속 감소하고 이에 대한 뉴스보도를 지난 몇 달간 접하면서 개인적인 부담도 느낀다. 결혼이나 출산을 개인의 선택으로 보고, 이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개인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 결정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게 중요해보인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장기적으로 출산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보다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콘텐츠는 ‘아이원더124’활동입니다.

+ Recent posts